본문 바로가기
직업 직장 정보

실업급여 지급기간 찾아 보는 방법 세액공제(소득공제) 추가납입 해야할까?

by 낯선공간2019 2023. 5. 28.

목차

    오늘 포스팅할 정보는 실업상태가 되었을 때

    요긴하게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지급기간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물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지급액 계산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실업수당을 얼마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이 받을 수 있는지가 가장 궁금하잖아요. 

    일단 실업급여 지급액은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의 50%에 

    소정 급여일수를 곱한 금액인데요. 

    그만큼 급여지급기간은 상당히 중요한 정보가 되는 거죠? 

    같은 4만 원이라도 90일(3달)을 받는 것과 180일(6개월)을 받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으니까요.

    이 실업수당 급여일수 계산법은 따로 있어요. 

    고용보험 가입자의 현재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데요.

    아! 또한 장애와 비장애 정도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집니다. 

    현재 실업수당 지급기간에서 최소일 수는 90일입니다. 

    가입자의 나이가 30세 미만이든, 아니든, 장애유무와 상관없이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년 미만이라면 90일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가입기간이 길어지면, 

    그리고 퇴사 당시의 연령이 높으면 수급기간이 길어집니다. 

    간단히 예시를 살펴보죠.

    일단 가입기간은 2년 10개월을 넣고,  가입자 나이는 40으로 잡아 볼게요.

    그러면 수당을 120일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약 4달 정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적진 않네요.

    만일 가입자의 나이가  47세라고 가정하고,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5년 넘으니 수급기간이 180일 즉 6개월이 되기도 합니다.

    매달 받아 오던 수익이 없어진다면,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가장으로서는 스트레스가 엄청 날텐 데요.

    새로운 직장을 구할 기간 동안만이라도 약간의 최저 생활을 보조해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사회 최소 안전망으로써 상당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 이미지들은 간단한 예시로 살펴본 실업급여 지급기간과 수급액을 모의 계산해 본 것입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해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도 간단하고, 본인의 데이터를 입력한다고 어디 유출되는 것이 아니니 걱정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도 수시로 해보니까요 

    반응형

    댓글